과거사례 봤을 때, 그 배경에 관심집중

[서울=내외경제TV] 장재성 기자 = 12일 열린 남북 고위급 접촉을 애초에 비공개로 갖자고 요구한 북한의 속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 8일 고위급 접촉을 제안하고 이후 협의 과정에서 우리 측에 접촉 사실을 비공개로 해달라고 제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우리 측 거절로 결국 11일 오후 이번 접촉에 관한 합의를 마친 후 고위급 접촉 사실이 공식적으로 발표됐다.


지난 1971년 당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극비리에 평양을 방문해 김일성과 면담한 것이 가장 잘 알려진 남북 비공개 접촉이다.


당시 남북은 수차례 비밀회동 끝에 7·4 남북공동성명을 발표, 결국 비밀 접촉이 세상에 알려지기도 했다.


가장 최근에는 이명박 정부 시절인 지난 2009년 당시 임태희 노동부 장관과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선전부장이 싱가포르에서 남북정상회담 개최 등의 논의로 비공개 접촉한 사례가 있었다.


당시 양측은 이견 속에 합의가 막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고 정부는 비공개 접촉을 공식 부인했다가 시간이 지난 뒤 비밀 접촉은 사실로 확인됐다.


이밖에 남북은 중대사안을 두고 비밀접촉에 관한 '설'들이 난무했지만 공식 확인된 사례는 드물었다.


한편, 북측이 이번 접촉을 비공개 제의한 배경은 대화 의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과거 사례에서 보듯, 비밀 협의는 대개 남북 정상회담 등 중대 사안을 협의하는 자리였던 만큼 북한이 민감한 사안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협의를 벌이고자 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북한이 우리 측 수석대표로 청와대 관계자를 직접 요청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럴 경우 접촉 장소도 외부 노출이 비교적 쉬운 판문점이 아닌 외국이나 북측 지역 제시도 가능했을 것이다.


우리 측은 북의 이러한 제안에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굳이 비밀 접촉할 필요가 없으며 상봉 성사에 집중한 뒤 이후 과제는 그때 가서 협의한다는 방침이었기에 비밀 회담은 성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도 남북관계 문제를 가급적 투명하게 가져가겠다는 기조를 밝힌 만큼 이러한 사실들이 비밀접촉 성사 가능성을 낮췄다는 것이다.


북한이 어떤 의도로 이번 고위급 회담을 비공개 요구했는지 정확한 의중을 파악하긴 힘들지만, 과거사례들과 최근 행보, 내부급변 등을 따졌을 때 우리 정부도 한 차례 거절한 만큼 향후에도 면밀한 검토가 필요 할 전망이다.


jsjswill@nbnnews.co.kr


저작권자 © 내외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