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사업 7월부터 시작, 2022년까지 진행할 예정

▲사진=서울 용산역 정비창 부지  

서울 한복판 마지막 대형 금싸라기 땅인 용산역세권 부지의 환경정화 개발사업이 그동안 좌절과 소송으로 우여곡절을 겪어 오다 환경정화 사업을 시작으로 또다시 재기를 노리고 있는 가운데 환경정화 업체 선정과 관련해 코레일측의 이해할 수 없는 업체 선정 방식을 두고 관련 업계는 불협화음이 커지고 있다.     

이 부지는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불리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중단된 곳으로 드림허브가 총 사업비 31조원을 투입해 초고층 빌딩과 호텔, 관광시설 등을 지어 서울을 대표하는 업무 거점지구로 개발할 계획이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면서 자금문제로 2013년 최종적으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무산됐다.  

코레일은 과거 용산역세권 시행사 상대로 제기한 사업용지 소유권 이전등기 말소청구소송 항소심에서 승소하면서 부지 소유권이 코레일로 넘어갔다. 

코레일은 용산역세권 부지 정화사업을 7월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곳 부지는 철도차량기지가 만들어진 이후 열차 정비가 이루어졌던 곳으로, 부품 기름과 중금속 가루 등 폐기물이 38만t 가량이 땅속에 묻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같이 오염된 부지 내 토양을 정화하는데 드는 비용은 수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해당부지는 2009년 코레일에서 설계당시 정화사업 예산이 1,000억원으로 시작해서 S그룹이 부동산개발사업자가 되고 2010년 해당 S그룹 측은 정화공사를 수주한 후 철거와 폐기물처리 비용 명목을 2,900억 원으로 증액하기도 했다.  

이후 2011년 시작된 정화사업이 용산 역사의 개발사업이 무산되면서 중단됐다. 이에 S그룹은 소송 등을 통해서 천억원 이상을 정화사업비로 수령했으나 2년이 넘는 정화공사 기간 동안 해당지역의 정화공정 실적이 10% 수준 인 것을 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S그룹의 정화사업이 사실상 기술적으로 실패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코레일은 사실상 기술적으로 실패한 방식으로 인해 S그룹과 공시비 지급문제로 소송에 휘말리는 등 부작용이 발생한 와중에도 코레일은 또 다시 대기업 참여를 전재한 입찰 규정을 넣어 조달청 예비공고를 냈다. 

이번 조달청의 입찰 예비공고를 두고 관련 업계는 코레일의 공고 내용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의 예비공고에 전문 중소기업의 입찰 참여는 원천봉쇄하고 대기업들의 입찰 참여가 좀 더 유리하도록 하려는 코레일 측의 의도가 담긴 것이 아닌지 중소기업들의 문제 제기와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코레일 측은 "대기업인 S그룹에서 처음에 발주를 하고 해당 그룹이 본 정화사업을 수주할 당시 처음 등장했던 입찰 예비 공고의 스펙 그대로 똑같이 적용 했다는 것이 의도와는 전혀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본지>는 코레일 용산환경처 관계자와의 통화에서 "대기업 뿐만 아니라 컨소시엄으로 공사를 들어 올 수 있도록, 많은 업체들이 참여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며 "오히려 사업능력평가에서 실적부분들을 완화시켜 중소기업 업체들도 적극 참여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내외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